"물가상승→임금상승→물가 추가상승 악순환 가능성"
"인플레 기대 심리 안정적 관리 필요"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최근 고용시장이 회복세를 나타내는 가운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도 겹치면서 임금상승 압력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고용분석팀은 25일 발표한 '최근 노동시장 내 임금상승 압력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최근의 물가 상승 충격이 1년의 시차를 두고 임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물가, 국내총생산(GDP) 갭, 이직률, 임금 등으로 구성된 모형을 만들어 추산한 결과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1%포인트(p) 높아지면 임금상승률은 4분기 이후부터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이런 시차가 발생하는 것은 1년 단위로 이뤄지는 임금 협상 관행과 현 노동시장의 경직성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시차를 고려했을 때 최근 가시화한 급격한 물가 상승세는 올해 하반기 이후 임금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우리나라의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대에 올라섰고, 지난달에는 4.1%로 10년여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울러 기대인플레이션(소비자물가 상승 전망 값)율이 1%포인트 높아지면 임금도 1%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상승 충격은 전반적으로 소비자물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외식 품목을 제외한 특정 개인 서비스 관련 물가에는 6분기 이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물가상승이 임금상승을 부추기고, 이에 따라 물가가 추가로 상승하는 악순환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경제 주체의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기본급과 같이 지속성이 높은 정액급여가 임금상승률에 미치는 기여도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점차 커지는 사실도 지적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명목임금은 4.6% 올랐는데, 이 중 정액급여가 임금상승에 미친 기여도는 2.6%포인트를 차지했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7∼2019년의 3.6%포인트보다는 작지만, 지난해 상반기 2.3%포인트에서 하반기 2.8%포인트로 커졌다.

수시로 지급하는 특별급여가 아니라 정액급여가 높아진다는 점은 임금상승이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