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설문조사…부동산시장 불확실성 새로 추가

금융 전문가 10명 중 4명은 한국 금융시스템에 가장 큰 리스크로 1천4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를 꼽았다.

또, 부동산과 가계부채 대책이 잇따르며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전문가도 늘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6일까지 국내 금융기관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해외 금융기관 한국 투자 담당자 등 총 68명을 대상으로 한국 금융시스템 5개 리스크 요인을 묻는 조사를 벌여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0일 발표했다.

응답자들이 꼽은 1순위 리스크는 가계부채 문제가 35%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28%),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24%), 부동산시장 불확실성(3%) 등이 따랐다.

응답자들이 지적한 5개 리스크 요인을 단순 집계한 결과도 비슷했다.

가계부채 문제는 응답자 87%가 5대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82%, 미 연준의 금리 인상 등 통화정책 정상화는 75%,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은 56%의 응답자가 위험 요인으로 지적했다.

지난 5월 서베이와 비교하면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이 새롭게 주요 리스크로 편입됐다.

정부가 8·2 부동산 대책, 10·24 가계부채 대책 등을 발표하며 주택 경기가 꺾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탓으로 보인다.

가계부채 문제,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미 연준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계속 주요 리스크로 지목됐고 응답 비중도 모두 상승했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취약업종 기업 구조조정은 이번엔 제외됐다.

전문가들은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와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1년 이내 단기에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로 꼽았다.

가계부채,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은 1∼3년 사이 중기 리스크로 인식했다.

발생 가능성으로 따지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가장 크고, 가계부채, 북한 리스크,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은 중간 정도 리스크로 지적됐다.

가계부채 문제나 북한 리스크는 일단 발생하면 영향력이 클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은 중간 정도 영향력을 지닌 리스크로 인식됐다.

금융시스템 안정성 신뢰도는 이전보다 향상됐다.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높다'는 응답은 40%에서 47%로 상승했다.

'낮다'는 응답률은 4% 수준을 그대로 유지했다.

1년 이내 금융시스템에 리스크가 현재화할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률 역시 51%에서 53%로 상승했다.

'높다'는 응답 비중은 13%로 이전과 같았다.

1∼3년 사이 금융시스템에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 역시 '높다'는 응답 비중이 38%에서 34%로 떨어졌고, 반대로 '낮다'는 15%에서 21%로 상승했다.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